- AI 반도체 기술 발전이 가져올 산업 패러다임 변화와 노동 환경 변화 집중 조명
- 전문가들 “AI와 인간 노동의 공존, 정책·윤리 가이드라인 마련 시급” 강조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이하 경사노위) 「인공지능(AI)과 노동 연구회」가 24일 제2차 회의를 개최하고 AI 기술 발전이 산업과 노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특히 AI 반도체 기술의 발전과 그에 따른 산업 및 사회 변화에 초점을 맞췄다.
김용석 위원은 ‘반도체가 이끄는 AI시대’라는 주제 발표에서 AI의 역사와 생성형 AI의 탄생 과정, AI 반도체의 종류와 응용 분야를 소개했다. 김 위원은 “일의 본질은 ‘왜 일하는가’를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한다”며 “AI와 인간 노동이 어떻게 보완하고 공존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AI 반도체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AI 반도체 시장은 2024년 71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성장세는 생성형 AI의 본격화와 데이터 센터, 모빌리티 분야에서의 수요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진회승 위원은 ‘AI혁명: 산업과 사회의 패러다임 변화’라는 주제로 AI가 경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 산업에서의 AI 활용과 효과, 그리고 AI 시대의 도전과 준비에 대해 발표했다. 진 위원은 “AI 기술의 공정성, 편향성, 개인정보 보호, 안전성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AI와 인간이 공존하는 산업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기술 혁신과 함께 정책·윤리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AI 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의료 산업에서는 AI를 활용한 정밀한 의료 영상 분석과 진단 예측이 이뤄지고 있으며,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실시간 환경 데이터 처리에 AI 반도체가 필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혁신은 노동 시장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AI로 인한 자동화가 일자리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AI 기술이 일자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AI 시대에 대비한 새로운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경사노위 「인공지능(AI)과 노동 연구회」는 앞으로 일하는 방식의 변화, 노동시장 및 고용에 미치는 영향, 일자리 창출 및 근로자 보호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AI 기술 교육 및 훈련 등 인재양성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