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선도할 ‘반도체 올림픽’ 개막… 글로벌 500개 기업 총집결

  • 세미콘 코리아 2025, 19일부터 3일간 코엑스서 개최… 역대 최대 규모 2,301개 부스 운영
  • 산업부 “반도체 메가클러스터·트리니티팹 조성으로 소부장 업계에 새 기회 제공할 것”
세미콘코리아 2025 개막식. (사진=아이씨엔미래기술센터)

국내 최대 규모의 반도체 전시회 ‘세미콘 코리아 2025’가 19일 서울 코엑스에서 화려한 막을 올렸다. 글로벌 반도체 협회(SEMI) 주관으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21일까지 3일간 진행되며, 국내외 500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기업이 참여해 2,301개의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

‘리드 더 엣지(LEAD THE EDGE)’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서는 인공지능(AI)과 같은 첨단 기술로 재편되는 반도체 산업의 혁신을 주도할 ‘엣지 테크놀로지’를 만나볼 수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대표 기업은 물론 AMD, 마이크론, 글로벌파운드리, ASML,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대거 참가해 최신 기술과 제품을 선보인다.

행사 기간 동안 AI, 첨단 패키징, 지속 가능한 반도체 제조 기술 등 미래 핵심 주제를 다루는 30여 개의 콘퍼런스가 열린다. 특히 올해는 미국과 베트남의 투자 포럼, 네덜란드와의 R&D 협력 컨퍼런스 등 글로벌 협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대폭 확대됐다.

SEMI의 아짓 마노차 대표는 개막식 인사말을 통해 “반도체 산업은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난제 해결을 위해 개인, 기업, 국가 간 경계를 초월한 글로벌 협력과 연대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반도체 메가클러스터와 트리니티팹(미니팹)의 조성은 우리 소부장 업계에 큰 기회가 될 것”이라며, “반도체 업계의 우수한 인력 확보를 위한 글로벌 협력 강화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해 1,419억 달러의 사상 최고 수출 실적을 달성한 반도체 업계의 노고를 치하하며, 정부 차원의 지원 강화 의지를 표명했다.

한편,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강세를 보이고 있어, 이번 전시회에서 AI 관련 반도체 기술에 대한 관심이 특히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4. 세미콘 코리아 2025는 AI 시대를 선도할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장이 될 전망이다.

인기 기사

최신 기사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