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64세 고용률 68.8%, 1월 기준 역대 최고치 경신… 30대·40대·60세 이상 고용률 상승
- 청년층 고용률 1.5%p 하락… 제조업·건설업 고용 감소세 지속돼 ‘양극화’ 우려

2025년 1월 고용동향에서 취업자 수가 전년 대비 13.5만명 증가하며 2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2025년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이같은 증가세는 설 연휴 이동효과와 정부의 직접일자리사업 확대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15~64세 고용률은 68.8%로 전년 대비 0.1%p 상승해 1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제활동참가율 역시 63.4%로 전년 대비 0.1%p 상승하며 1월 기준 최고치를 달성했다. 실업률은 3.7%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연령별로는 30대(80.0%, +0.9%p), 40대(78.8%, +0.6%p), 60세 이상(42.3%, +1.0%p)에서 고용률이 상승했다. 반면 청년층(44.8%, -1.5%p)과 50대(76.5%, -0.3%p)에서는 고용률이 하락해 연령대별 고용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에서 34.9만명이 증가해 고용 회복을 주도했다. 이는 설 연휴를 앞둔 성수품 구매 증가와 정부의 직접일자리사업 확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보건복지 및 공공행정 분야에서 15.2만명의 일자리가 늘어났다.
그러나 제조업(-5.6만명)과 건설업(-16.9만명)에서는 여전히 고용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어, 산업 간 고용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별로는 상용직이 22.4만명 증가해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이 이어졌고, 임시직도 7.2만명 증가하며 개선세를 보였다. 반면 일용직은 11.6만명 감소해 여전히 불안정한 고용 상황을 반영했다.
정부는 이번 고용동향에 대해 “민생경제 회복의 모멘텀을 마련하기 위해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 및 취약계층 고용안정을 위한 노력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1분기 중 SOC 예산과 공공기관 투자 등의 신속집행을 통해 건설경기를 보강하고, 청년과 중장년 등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강화할 예정이다.
청년 고용 개선을 위해서는 3월부터 ‘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을 본격 가동하고, 민관 합동 ‘대한민국 채용박람회’를 개최하여 청년층 취업 분위기를 조성할 계획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생산연령인구 감소에 따른 인구효과가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취업자 수 증가를 제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장기적인 고용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KDI 분석에 따르면, 인구효과로 인한 취업자 수 변화는 2024년 +0.3만명에서 2025년 -1.2만명 ~ -6.0만명으로 악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정부는 앞으로도 일자리 TF와 민생경제점검회의 등을 통해 취약부문 지원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점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