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혁신 선도기업 육성에 ‘1조 원’ 지원한다

  • 5년간 111개 과제 선정, 지역 주력산업 생태계 구축 박차
  • 탄소중립·범용AI 핵심기술 개발 위한 국가전략 프로젝트 시동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한 대규모 연구개발(R&D) 지원에 나선다. 과기정통부는 24일 ‘지역혁신선도기업육성사업’에 총 1조 445억 원을 투입하고, 5년간(2025~2029년) 111개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기존 ‘지역특화산업육성’ 사업을 계승하면서, 최근 연구개발 혁신 정책 방향에 맞춰 지역 주력 산업 분류 체계를 국가 전략기술에 맞게 개편했다. 특히 지역 간 경쟁 체계를 도입하고, 혁신성과 성장성이 높은 우수 기업과 과제를 차등 지원하는 방식으로 사업 구조를 고도화했다.

과기정통부는 1월 31일부터 지역별 주력산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111개 과제(총 215.6억 원)를 공고하고 기업 선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성장과 기술혁신 기반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탄소중립과 범용인공지능(AGI) 분야의 대규모 국가연구개발 프로젝트도 본격 추진한다. 탄소 포집·활용(CCU) 메가프로젝트는 총 1조 1,392억 원을 투입해 5대 산업별 실증부지를 대상으로 대형 실증설비 구축부터 제품화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범용인공지능(AGI) 핵심기술 개발 사업은 총 9,313억 원을 투자해 2032년까지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목표로 한다. 이 사업은 해외 인공지능 기술 의존도를 낮추고 신시장 창출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투자의 확실한 선택과 집중, 선도형 연구개발로의 전환을 본격화하겠다”며 “지역혁신선도기업 육성사업은 지역균형발전과 경쟁·차등지원이라는 두 가지 원칙을 균형 있게 이행하여 사업 성과를 극대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인기 기사

최신 기사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