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원 먹거리 지원카드 ‘농식품 바우처’, 취약계층 식탁이 바뀐다

  • 농식품부, 2025년부터 농식품 바우처 전국 확대…임산부·영유아 가정 대상
  • 사용처 다양화 및 온라인 신청 가능…이용자 편의성 대폭 개선

농림축산식품부가 2025년부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농식품 바우처’ 사업을 전국으로 확대 실시한다. 이는 취약계층의 균형 잡힌 식품 섭취를 돕고 지속가능한 농식품 소비 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조치다.

농식품 바우처 사업은 2020년부터 시범사업으로 운영되어 왔으며, 5년간 71개 시·군·구의 25만여 가구를 지원했다. 2024년 시범사업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86%가 “건강 및 영양 보충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으며, “현재 식생활에 만족한다”는 의견도 34%에서 49%로 크게 증가했다.

2025년부터 전국으로 확대되는 이 사업의 지원 대상은 임산부, 영유아, 18세 이하 아동이 있는 생계급여 수급 가구다. 지원 금액은 4인 가구 기준 연 최대 100만원으로, 2024년 시범사업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지원 기간도 6개월에서 10개월로 확대되어 더욱 안정적인 지원이 가능해졌다. 바우처 이용 가구는 전용 카드를 사용해 지정된 사용처에서 국산 채소, 과일, 육류, 신선알류, 흰우유, 잡곡, 두부류 등을 구입할 수 있다. 사용처는 대형마트, 편의점, 중소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으로 다양화되어 접근성이 크게 개선됐다.

농식품부는 이용자 편의를 위해 농식품 바우처 통합플랫폼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방문 신청뿐만 아니라 온라인, 전화 등으로도 신청이 가능해졌으며, 행정정보 연계를 통해 신청 서류도 간소화됐다. 지원 대상 가구는 2월 17일부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나 농식품 바우처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임정빈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농식품 바우처 사업의 전국 확대를 환영한다”면서도 “다양한 취약계층의 균형 있는 먹거리 접근성 강화와 함께 어려움에 처한 농가경제에도 도움이 되도록 지속적인 사업 확대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농식품부 박순연 유통소비정책관은 “농식품 바우처 본사업 추진으로 취약계층 먹거리 안전망 확충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물가 상승 시 취약계층의 먹거리 부담이 더욱 커지는 만큼 더 많은 취약계층이 안정적으로 양질의 먹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 대상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인기 기사

최신 기사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