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젤렌스키, 바이든 농락… 우크라 선거 거부하는 독재자”
- 젤렌스키 “트럼프, 러시아 허위정보에 휘둘려”… 유럽 정상들 젤렌스키 옹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젤렌스키 대통령을 ‘독재자’로 지칭하며 연일 비난을 쏟아냈다. 이 발언은 젤렌스키가 미국과 러시아 간의 회담에서 제외된 뒤, 트럼프가 그를 비판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에서 열린 사우디 후원 투자 회의에서 “젤렌스키가 유일하게 잘한 것은 조 바이든을 손바닥 위에서 놀린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젤렌스키는 선거를 거부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여론조사에서 매우 낮은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그를 비난했다.
이에 대해 젤렌스키 대통령은 즉각 반박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허위 정보의 공간에 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TV 방송에 출연해 “트럼프 대통령이 3년간 이어진 러시아의 고립을 끝내는 데 도움을 줬다”며 “이는 우크라이나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젤렌스키는 또, 트럼프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의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독재자’ 발언은 유럽 지도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젤렌스키 대통령의 민주적 정당성을 부인하는 것은 단순히 잘못되고 위험하다”고 말했다. 영국의 키어 스타머 총리도 젤렌스키와의 전화 통화에서 “우크라이나의 민주적으로 선출된 지도자로서 젤렌스키 대통령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한 전시 상황에서 선거를 중단하는 것은 합리적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우크라이나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전면 침공 이후 계엄령 상태로, 선거가 중단된 상태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5년 임기는 2024년 5월에 끝날 예정이었으나, 전시 상황으로 인해 연장되고 있다. 스웨덴의 울프 크리스테르손 총리도 트럼프의 ‘독재자’ 발언을 비판하며, 독일 외무장관 안나레나 바르복은 이 발언이 “터무니없다”고 지적했다.
바르복 장관은 “진짜 세상을 바라보면 유럽에서 누가 독재자의 조건 속에서 살아가는지를 알 수 있다”며 러시아와 벨라루스를 언급했다. 그녀는 ZDF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발언이 얼마나 부적절한지를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우크라이나와의 희토류 광물 거래가 무산된 것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젤렌스키 정부를 비난했다. 그는 “우크라이나가 거래를 깨뜨렸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입장을 고수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이 젤렌스키 대통령의 ‘허위 정보’ 발언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이라고 설명했다. 미국과 러시아 관리들은 18일 러시아의 전면 침공 이후 처음으로 고위급 대면 회담을 가진 바 있으며, 이 회담에서는 양국 간 긴장 완화와 평화 협상 방안이 논의되었다. 이번 갈등은 미국 내 정치적 상황과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두 지도자 간의 대립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