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맞춤형 스마트공장 구축에 ‘164.5억’ 원 투입한다

  • 경북·전남·전북 3개 지자체와 협력, 지역특화산업 육성 위한 스마트공장 지원
  • 식품제조·농생명 바이오 등 지역별 특화 분야에 집중 투자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가 지방자치단체와 손잡고 지역 특성에 맞는 스마트공장 구축에 나선다. 중기부는 25일 ‘2025년도 지역특화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 공고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정부의 스마트공장 구축지원과 지자체의 지역특화산업 육성지원을 연계한 신규 협업사업으로, 올해는 경북, 전남, 전북 등 3개 지자체가 참여한다. 총 사업비는 164.5억 원으로, 중기부가 60억 원을 지원하고 지자체가 104.5억 원을 매칭한다. 이로써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은 구축비용의 50~80%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 지자체별 특화 프로그램인 기술지원, 사업화지원 등도 연계하여 받을 수 있게 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북은 40억 원을 투입해 식품제조 분야의 스마트공장 50개를 구축 지원한다. 경북의 식품제조 산업은 지역의 전통과 특산물에 기반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번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생산성 향상과 품질 관리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지원기업 대상으로 협력 네트워크 구축, 기술상담(컨설팅), 인증평가 등의 사업화 지원과 함께 정책자금, 마케팅, 수출역량강화 등의 지역특화 프로그램도 연계하여 지원한다.

전남은 57.5억 원으로 식품제조 분야 40개 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과 5개 기업의 제조로봇·설비 구축을 지원한다. 전남의 식품제조 산업은 지역의 신선한 농산물과 해산물을 활용한 가공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스마트공장 도입을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준비할 계획이다.

전북에서는 67억 원을 들여 농생명 바이오 분야 35개 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을 돕는다. 전북의 농생명 바이오 산업은 지역의 자연환경과 농업 자원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바이오 제품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번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기술 혁신과 국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축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사업화, 신제품개발, 마케팅, 수출인증 및 스마트HACCP 교육·컨설팅 등 특화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사업은 단순한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을 넘어 지역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연계 지원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를 통해 지역 기업들은 스마트공장 도입뿐만 아니라, 기술 혁신과 시장 진출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어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권순재 중기부 제조혁신과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하여 지역기업의 제조현장을 스마트화하고 지역 현안을 공동으로 해결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 지역의 수요를 고려해 지원 예산과 대상 지역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25일부터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누리집에서 공고문을 확인하고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인기 기사

최신 기사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