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산림 기술로 중남미 기후위기 극복 나선다”
- 25년간 112만톤 CO2 감축 잠재력…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 전망”

산림청이 중남미 국가들과 손잡고 대규모 산림복원 프로젝트를 통해 기후위기 대응에 나선다. 산림청은 24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가이아나 등 중남미 국가에 한국의 선진 산림복원 기술을 활용한 공적개발원조(ODA) 협력사업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중앙아메리카의 건조회랑 지역(Dry Corridor)에 속하는 국가들의 황폐화된 산림을 복원하고, 지속가능한 혼농임업을 정착시켜 지역주민의 소득 창출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온두라스에서는 2023년부터 시작된 혼농임업과 산림경관 복원사업에 이어, 올해부터는 개발도상국 산림황폐화 방지사업(REDD+)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엘살바도르에서는 램파(Lempa)강 일대의 산불 발생과 산림황폐화를 방지하기 위해 방화수림대를 조성하고 있으며, 한국의 고성능 산불진화 장비 지원도 이뤄지고 있다. 과테말라의 경우, 원주민의 주요 생계 수단인 산림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 양묘장 조성과 민관 역량강화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가이아나에서 진행 중인 맹그로브 숲 생태복원 사업이다.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와 협력하여 약 120ha 규모로 추진되는 이 사업은 해일 감소와 생물다양성 증진 효과뿐만 아니라, 향후 25년간 112만톤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어 한국의 국외 탄소감축 및 배출권 확보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산림청은 이러한 협력사업을 통해 2023년 8월 제정된 「개발도상국 산림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 및 탄소 축적 증진 지원에 관한 법률」을 기반으로 한 REDD+ 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중남미의 풍부한 산림을 보전하는 동시에 한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국외감축 실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남송희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은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자산으로 산림의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라며, “한국의 선진 산림기술을 활용해 중남미 국가들과 협력함으로써 기후위기 극복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산림청은 이외에도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과 추진 중인 건조지녹화파트너십(GDP)을 통해 페루와 에콰도르의 황폐산림 복원을 지원하고 있으며,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공동으로 산림경관복원메커니즘(FLRM)을 운영하여 페루와 과테말라의 산림경관복원 전략 수립을 돕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