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별법안 주요 사업장 방문… 물류·금융·첨단산업 거점 조성 현황 확인
- 워케이션 센터·청년마을 등 지방소멸 대응 정책 실효성 점검

행정안전부 김민재 차관보가 6일부터 이틀간 부산광역시를 방문해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안’ 관련 주요 사업 현장을 점검한다. 이번 방문은 부산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실행력을 높이고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 차관보는 먼저 특별법안의 핵심인 글로벌 물류·금융 거점, 디지털·첨단산업 거점, 글로벌 교육·생활·문화·관광 거점 등 분야별 주요 사업 현장을 둘러볼 예정이다. 이 특별법안은 지난해 9월 2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법안소위에 상정됐으며, 현재 공청회 개최를 준비 중이다.
특별법안은 부산을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도시로 육성하기 위해 특구·지구 지정 및 각종 특례 조항을 담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부산시와 협력해 이 법안의 제정을 통해 부산의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을 지원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역 활성화와 균형발전을 도모할 계획이다. 이어 김 차관보는 지방소멸대응기금으로 조성된 ‘부산 워케이션 거점센터’를 방문한다. 이 센터는 2022년부터 운영 중이며, 탁트인 바다 전망과 효율적인 업무공간 배치로 주목받고 있다. 행안부는 올해 2월부터 중앙부처 공무원 대상 워케이션을 도입하고, 이를 부산 센터와 연계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2021년 행안부 청년마을로 선정된 ‘이바구마을’을 방문해 청년 유입을 통한 지역 활력 증진 방안과 빈집 정비를 위한 민관 협업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눌 계획이다.
김민재 차관보는 “정부 정책이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지역현장 상황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며 “앞으로도 현장을 자주 찾고 현장의 의견을 행안부 주요 정책에 잘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부산시는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에 착수했다. 시는 올해 20억 원을 투입해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 및 경쟁력 강화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특별법의 실효성 있는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