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의회, 정부 기기에서 중국 AI 챗봇 ‘딥시크’ 사용 금지 추진… 국가안보 우려 제기
- 딥시크 R1 모델, 미국 기술 추월 가능성에 충격… ‘틱톡’ 사태 재현 우려

미국이 중국의 인공지능(AI) 기술 공세에 대한 반격에 나섰다. 미 의회는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챗봇을 정부 기기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일리노이 주 공화당 의원 대린 라후드와 뉴저지 주 민주당 의원 조시 고트하이머는 7일(현지시간) ‘정부 기기에서 딥시크 금지법’을 제안한다. 이 법안은 국가 안보를 이유로 정부 기관이 60일 이내에 딥시크와 그 모기업인 하이플라이어가 개발한 모든 앱을 공식 기기에서 제거하기 위한 기준과 지침을 마련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딥시크가 최근 선보인 AI 모델 ‘R1’이 미국 기업들의 모델에 버금가는 성능을 보이면서 기술 패권 경쟁에 대한 우려가 고조된 데 따른 것이다. R1은 미국의 최신 AI 모델과 유사한 능력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훈련 비용과 전력 소비가 더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고트하이머 의원은 “중국 공산당이 미국의 국가 안보를 훼손하고 유해한 허위 정보를 퍼뜨리며 미국인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며 법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2022년부터 시작된 틱톡 규제와 유사한 맥락으로, 중국 기업이 소유한 앱을 통해 미국 사용자의 민감한 데이터가 중국 정부에 넘어갈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 것이다.
보안 전문가들은 딥시크가 중국 기업이라는 점에서 사용자 데이터가 중국 정부에 제공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노드VPN(NordVPN’의 사이버보안 전문가 아드리아누스 바르멘호벤은 “중국의 사이버보안법에 따라 플랫폼과 공유된 모든 데이터가 정부의 요청 시 접근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호주, 이탈리아, 대만 등도 유사한 조치를 취한 바 있어 딥시크를 둘러싼 국제적 규제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딥시크 측은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